본문 바로가기

Transport layer4

[Network] 트랜스포트 계층(Transport Layer)(4) 연결지향형 트랜스포트: TCP 혼잡 제어에 대한 접근법 실제로 TCP가 혼잡 제어를 수행하는 두 가지 광범위한 접근 방식이 있습니다. 가장 크게 보면 네트워크 계층이 혼잡 제어를 목적으로 트랜스포트 계층에 어떤 직접적인 도움을 제공하는지에 따라 혼잡 제어 접근을 구별할 수 있습니다. 종단 간의 혼잡 제어: 혼잡 제어에 대한 종단 간의 접근 방식에서 네트웤 ㅡ계층은 혼잡 제어 목적을 위해 트랜스포트 계층에게 어떤 직접적인 지원도 제공하지 않습니다. 네트워크에서 혼잡의 존재는 단지 관찰된 네트워크 동작에 기바초하여 종단 시스템이 추측해야합니다. IP 계층은 네트워크 혼잡에 관해 종단 시스템에게 어떠한 피드백 제공도 요구받지 않으므로 TCP가 혼잡 제어를 위한 종단 간의 접근 방식을 취합니다. TCP 세그먼트.. 2023. 8. 15.
[Network] 트랜스포트 계층(Transport Layer)(3) 연결지향형 트랜스포트: TCP 흐름 제어 TCP 연결의 각 종단에서 호스트들은 연결에 대한 개별 수신 버퍼를 설정합니다. TCP 연결이 순서대로 올바르게 바이트를 수신할 때 TCP는 데이터를 수신 버퍼에 저장합니다. TCP는 송신자가 수신자의 버퍼를 오버플로시키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애플리케이션에게 흐름 제어 서비스(flow-control service)를 제공합니다. 흐름 제어는 속도를 일치시키는 서비스로 수신하는 애플리케이션이 읽는 속도와 송신자가 전송하는 속도를 같게 합니다. 송신자 제어의 이 형태는 혼잡 제어(congestion control)이라 부릅니다. TCP는 송신자가 수신 윈도(receive window)라는 변수를 유지하여 흐름 제어를 제공합니다. 수신 윈도는 수신 측에서 가용한 버퍼 .. 2023. 8. 14.
[Network] 트랜스포트 계층(Transport Layer)(2) 연결지향형 트랜스포트: TCP TCP가 신뢰적인 데이터 전송을 제공하기 위해 오류 검출, 재전송 누적 확인응답, 타이머, 순서 번호와 확인응답 번호를 위한 헤더 필드를 포함한 방법을 설명하겠습니다. TCP 연결 TCP는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스가 데이터를 다른 프로세스에게 보내기 전에 두 프로세스가 서로 '핸드셰이크'를 먼저 해야하므로 연결지향형(connection-oriented)입니다. 즉 데이터 전송을 보장하는 파라미터들을 각자 설정하기 위한 어떤 사전 세그먼트들을 보내야합니다. TCP 포로토콜은 오직 종단 시스템에서만 동작하고 중간의 네트워크 요소(라우터와 링크 계층 스위치)에서는 동작하지 않으므로 중간의 네트워크 요소들은 TCP 연결 상태를 유지하지 않습니다. (중간 라우터들은 이들의.. 2023. 8. 12.
[Network] 트랜스포트 계층(Transport Layer)(1) Transport Layer 트랜스포트 계층 프로토콜은 각기 다른 호스트에서 동작하는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스간의 논리적 통신(logical communication)을 제공합니다. 논리적 통신은 애플리케이션 관점에서 보면 프로세스들이 동작하는 호스트들이 직접 연결된 것처럼 보인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또한 트랜스포트 계층은 프로토콜은 네트워크 라우터가 아닌 종단 시스템에서 구현됩니다. 트랜스포트 계층 세그먼트라고 알려진 트랜스포트 계층 패킷으로 변환되어 네트워크 계층 패킷(데이터그램) 안에 캡슐화되어 목적지로 전달됩니다.(라우터는 데이터그램 안에 캡슐화된 트랜스포트 계층 세그먼트의 필드를 검사하지 않습니다.) 이 후 수신 애플리케이션의 트랜스포트 계층에서 세그먼트 내부의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도록 수신된 세.. 2023. 8. 11.